2018년, 한국 공포 영화의 판도를 바꾼 작품이 등장했다. 바로 정범식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위생병원으로 악명 높은 '곤지암 정신병원'을 배경으로 한 영화 <곤지암>이다. 개봉 전부터 실제 존재하는 장소를 바탕으로 한 점, 그리고 일반적인 시네마틱 카메라가 아닌 1인칭 시점의 핸드헬드 캠으로 촬영되었다는 점에서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단순한 호기심 이상의, ‘리얼’에 가까운 공포를 선사하며 관객을 끌어당겼다.
현실처럼 느껴지는 공포, 그 리얼함의 정체
<곤지암>이 무서운 이유는 단순한 ‘귀신’이나 ‘점프 스케어’ 때문이 아니다. 이 영화의 진짜 공포는, 그 무대 자체에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실제 장소인 곤지암 정신병원은 오랜 세월 동안 출입이 금지된 채 방치되어 있었고, 도시 전설처럼 퍼진 이야기들 덕분에 이미 대중 사이에서 괴담의 성지가 되었다. 정범식 감독은 이러한 ‘실재’를 영화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고, 덕분에 관객은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듯 긴장감을 체험한다.
1인칭 촬영기법 또한 리얼리티를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인물의 헬멧에 달린 캠코더, 셀카봉, 드론 등으로 촬영된 장면들은 관객이 마치 직접 체험하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하며, 공포를 더욱 사실적으로 전달한다. 이건 단순한 영화가 아니라, 체험형 호러에 가깝다.
유튜브, 바이럴, 그리고 현대 사회의 '주목' 욕망
<곤지암>은 단순히 귀신이 나오는 폐병원 이야기로 끝나지 않는다. 이 영화는 유튜브 생중계 콘텐츠를 통해 돈을 벌려는 젊은이들의 욕망,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자극적인 콘텐츠'의 윤리적 문제를 날카롭게 짚는다.
등장인물들은 곤지암 정신병원에서 생중계를 진행하며 시청자 수를 끌어모으기 위해 일부러 무서운 연출을 계획한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짜여진 각본처럼 보이지만, 점점 알 수 없는 현상들이 벌어지면서 ‘연출된 공포’와 ‘실제 공포’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한다. 이 지점에서 영화는 현대 사회의 SNS와 유튜브 문화, 그리고 그 속에 감춰진 인간의 이기심과 이중성까지 건드린다.
심리적 불안감을 자극하는 서스펜스와 여운
<곤지암>은 잔인한 장면이나 피범벅 클리셰 없이도 극강의 긴장감을 만든다. 문득 스쳐가는 그림자, 갑자기 꺼지는 조명, 누군가 뒤에 서 있는 듯한 기척. 시끄럽게 놀라게 하는 장치 없이, 서서히 스며드는 공포가 이 영화를 더욱 무섭게 만든다. 그리고 관객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혹시 우리 집 CCTV에 저런 게 찍히진 않을까?’라는 상상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곤지암>은 단순히 보고 끝나는 공포 영화가 아니다. 오히려 관객의 머릿속에 오래 남아,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기억 속 공포'로 이어진다.
배우들의 리얼 연기와 캐릭터 구성
이 영화는 스타 배우 없이 신예들로 캐스팅되었지만, 오히려 그 점이 영화의 리얼리티를 강화한다. 관객은 배우들의 얼굴에 몰입하기보다는, 그들이 처한 상황과 반응에 더욱 집중하게 된다. 실제 유튜버처럼 자유롭게 말하고 장난치는 그들의 모습은 우리 주변의 누군가처럼 느껴지고,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겪는 공포가 곧 우리의 공포로 치환된다.
특히 남다르게 리액션이 컸던 ‘샬롯’(문예원 분)의 연기나, 침착하지만 점차 무너져가는 ‘하준’(위하준 분)의 감정선은 무섭고도 설득력 있다. 캐릭터들이 억지스럽지 않고, 현실적인 공포 반응을 보여주는 것도 이 영화가 뛰어난 이유 중 하나다.
곤지암이 남긴 것 – 공포의 진짜 얼굴
결국 <곤지암>은 우리에게 묻는다.
“우리는 왜 공포를 즐기는가?”
“자극적인 콘텐츠를 향한 집착은 어디까지 가야 멈출 수 있을까?”
그리고 “눈앞의 공포보다,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더 무서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 영화는 곧잘 잊혀지는 공포 영화들과 다르다. 기술적 완성도, 연출의 창의성, 그리고 사회적 메시지까지 삼박자를 고루 갖췄다. 단순히 무서운 영화로 남는 것이 아니라, 현대인의 내면을 건드리는 묘한 거울로도 기능한다.
총평
<곤지암>은 한국 공포 영화의 새로운 이정표다.
리얼리티와 픽션이 절묘하게 맞닿은 지점에서, 관객은 진짜 공포를 경험하게 된다. 무서움의 본질을 건드리고, 그 무서움이 어디서 오는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 지금까지도 “곤지암이 제일 무서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단순한 스릴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 스며든 공포이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