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고요?”
『1987』은 단순한 과거의 회고가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무엇이 인간을 바꾸는가?
무엇이 한 사회를 일으켜 세우는가?
영화는 말한다.
한 명의 죽음으로 시작된 진실의 목소리가, 전체 민중의 움직임으로 이어졌다고.
그리고 그 죽음을 은폐하려는 자들과,
그 진실을 밝히기 위해 목숨까지 건 사람들의 대립 속에서
우리는 ‘민주주의’라는 이름의 희생을 다시 목격한다.
줄거리 – 그날 이후, 역사는 달라졌다
1987년 1월,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 도중 사망한다.
당시 군사정권은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하며,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궤변으로 언론 브리핑을 강행한다.
하지만 그 죽음은 단순한 통계로 잊히지 않았다.
검찰, 교도소, 언론, 종교계, 대학가…
진실을 목격한 사람들, 또는 침묵하지 못한 양심이
하나 둘씩 입을 열기 시작한다.
그들의 저항은 눈물보다 뜨겁고, 목숨보다 무겁다.
그리고 결국 6월 항쟁으로 이어지며,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초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내는 민중의 승리로 이어진다.
인물 중심 리뷰 – 진짜 주인공은 평범한 시민이었다
공안부장(하정우)
법무부의 공안부장.
냉정하고 이성적인 관료로서, 정권의 입맛에 맞는 수사 결과를 요구받는다.
하지만 그는 단호하다.
“사망 사건은 무조건 검시해야 한다”며 상부의 압력에 맞선다.
하정우는 이 캐릭터를 단순한 반골 검사로 그리지 않는다.
체제 안에서 시스템을 역이용해 진실을 지키려는 절제된 영웅으로 표현한다.
그의 율사적 양심은, 이 영화의 서사적 중심축이다.
한병용(유해진)
서울구치소 교도관.
말 한 마디 못하는 평범한 중년 남성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서류 하나를 기자에게 넘기며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다.
그의 행동은 크지도, 화려하지도 않다.
하지만 역사란, 이렇게 작고 조용한 용기들로 만들어진다.
윤상삼 기자(이희준)
죽음을 추적하는 기자.
정보와 진실 사이, 침묵과 폭로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물이다.
그의 집요함은 관객에게 희망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언론의 책임과 무게를 되새기게 만든다.
연희(김태리)
사건과 무관했던 대학생.
처음에는 정치에도, 시위에도 무관심했지만
작은 진실들과 마주하면서 점점 각성한다.
그녀는 대한민국의 수많은 ‘그때의 나’, ‘지금의 우리’다.
침묵에서 깨어나 ‘행동’으로 전환되는 과정 자체가 이 영화의 본질이다.
박처장(김윤석)
남영동 대공분실 책임자.
비열하고 폭력적이지만, 동시에 ‘체제의 괴물’로 성장한 인물.
그의 존재는 단지 개인 악당이 아닌,
국가 폭력 그 자체의 상징이다.
연출의 묘 – 장준환 감독이 그려낸 인간과 체제
『1987』은 사건이 아니라 사람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장준환 감독은 이 거대한 사건을
'사람들의 표정, 행동, 선택'으로 말한다.
카메라는 화려하지 않다.
오히려 다큐멘터리처럼 정직하다.
음악은 감정을 자극하지 않는다.
침묵, 정적, 숨소리조차 감정을 끌어올린다.
연희가 시위 현장을 지나며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그 장면,
그곳엔 말이 없다.
하지만 관객은 느낀다.
“이제, 바뀌어야 한다.”
인상 깊은 명장면
- 박종철 고문 장면: 고요한 수사실, 억! 하고 죽는 소리 하나로 모두를 침묵시킨다.
- 기자에게 서류를 넘기는 한병용의 손: 가장 무력한 손이 가장 위대한 선택을 한다.
- 연희가 손팻말을 드는 마지막 장면: 그녀가 아닌 우리가 그 팻말을 들게 된다.
-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발표: 이 한 문장은 1987년을 바꾸는 시발점이 된다.
아쉬운 점
- 극적 긴장감보다는 사실 전달에 치중된 전개는 일부 관객에게는 다소 건조하게 느껴질 수 있다.
- 박종철 본인의 서사가 짧아, 감정적 연결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는 오히려 그가 '한 사람의 상징'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총평
『1987』은 “잊지 말아야 할 이름”에 대한 이야기이자,
지금 우리 사회가 왜 이렇게 존재할 수 있는지를 되묻는 영화다.
이 영화는 단순히 "잘 만든 작품"을 넘어서
의무처럼, 책임처럼, 반드시 보아야 할 작품이다.
우리는 종종 민주주의를 당연히 여긴다.
그러나 『1987』은 그 당연함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피와 눈물 위에 세워졌는지를 똑똑히 보여준다.
“모두가 침묵할 때, 한 명의 목소리가 세상을 바꾼다.”
그 진실은 지금도 유효하다.